스킵 네비게이션

나노융합공학과

나노융합공학과

Dept. of Nanotechnology Engineering
TEL : 051-629-6385, 6386
FAX : 051-629-6388

나노융합공학과는 다학제적 나노융합공학 전공을 통해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인재, 자기 주도적 사고와 국제경쟁력을 두루 겸비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초연결, 초고속화, 대용량화, 친환경의 4대 핵심 이슈 해결을 위해 나노기술을 토대로 기존 제품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는 고부가가치의 신산업 육성과 신시장 창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산업침체와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는 국가와 지역의 주력산업을 대체할 신성장 미래산업 육성을 주도하는 나노융합에너지 및 나노융합반도체 분야 핵심 인재를 양성하며, 이를 위해 전공기초 및 전공 핵심 교과, 다양한 융복합 공학 프로그램들을 개설하여 심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교육목표

나노기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다학제적 나노융합기술인 양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는 도전적 인재 양성

소통하고 협업하여 더 큰 성과를 창출하는 포용적 인재 양성


졸업 후 진로

· 관련직업: 나노공학기술자, 반도체공학기술자, 에너지공학기술자, 재료공학기술자

· 대학 교수, 기술직/특허 담당 공무원, 국가출연연구소 연구원 등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삼성전기, LG이노텍 등의 반도체, 웨어러블, IoT, 인공지능, 디스플레이 관련 분야 산업체

·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SDI, 현대자동차, 일진머트리얼즈, 대주전자재료 등의 배터리, 에너지 관련 분야 산업체


취득자격증

금속재료(산업)기사 화공(산업)기사 전기(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

교수진

교수명 전공 이메일
남수용 재료공학 suynam@pknu.ac.kr
신동윤 재료공학 dyshin@pknu.ac.kr
이지열 응용물리 jiyoul_lee@pknu.ac.kr
백강준 재료공학 kangjun100@pknu.ac.kr
김창우 유무기재료합성, 인쇄재료 및 실습 kimcw@pknu.ac.kr
오필건 전자기학, 무기화학, 나노소재분석개론 및 실험 poh@pknu.ac.kr
서민호 수전해, 연료전지, 이산화탄소 전환 소재 및 양자화학, 인공지능 멀티스케일 모델링 foifrit@pknu.ac.kr
채문석 공학화학, 나노재료화학, 나노소재물성분석 mschae@pknu.ac.kr
이우재 원자층 증착법, 반도체 공정, 연료전지(음이온 양이온), 촉매 wjl@pknu.ac.kr

연구실 소개

Dept. of Nanotechnology Engineering

소개 및 분야안내

  • 기능성 재료 연구실
    남수용 suynam@pknu.ac.kr

    기능성 재료 연구

    기능성재료 연구실에서는 Screen인쇄, Gravure offset인쇄, Revese offset인쇄, Gravure인쇄, hotolithographic에 적합한 기능성 Paste를 개발하여 태양전지, OLED, PDP, LCD, VPT, RFID등의 제조에 활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기능성 전자재료로서 태양전지 전극용 Nano Ag paste, Micro/ Nano hybird Ag paste, Al paste, PDP용 Address 및 Bus전극용 Ag paste, TFT/OTFT용 Nano Ag paste, OLED용 pb-free sealing paste, VPT용 ITO paste, RFID용 Ag paste, FPCB용 Ag paste 등에 대해서 연구개발하고 있다. 즉 현재 Low cost를 요구하는 첨단산업 분야에 특수인쇄기법을 적용 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개발이 주 연구 분야이다.

    기능성 재료 연구
  • 인쇄전자 연구실
    신동윤 dyshin@pknu.ac.kr

    인쇄전자연구

    본 연구실에서는 잉크젯과 같은 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 및 디스플레이, 그리고 태양전지 제조와 관련된 소재, 공정 및 장비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 비접촉 정전기젯용 실리콘 태양전지 실버소재 개발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용 잉크젯 장비개발
    · 삼익THK㈜ -다목적 인쇄전자용 잉크젯 장비개발 ? 삼익THK㈜

    등록특허
    · 솔라셀 웨이퍼 전극 형성 방법 ? KR 10-1005005
    · 전동줌렌즈와 회전미러를 이용한 고속 광학관측 시스템 ? KR 10-1013168
    · 잉크 공급 및 압력조절 통합장치 ? KR 10-1065265 (국내 등록특허 38건 및 해외 등록특허 4건)

    인쇄전자연구
  • 유기 인쇄전자 나노소재 및 소자 연구실
    이지열 jiyoul_lee@pknu.ac.kr

    유연 인쇄전자 기반 소자 / 회로, 공정 및 재료

    본 연구실에서는 인쇄공정을 적용하여 TFT 기반의 다양한 소자 및 회로를 제조하고 분석하여 최적화된 성능으로 유연 스마트 시스템에 응용하도록 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연 인쇄전자 기반 소자 / 회로, 공정 및 재료
  • 지능형 유연반도체 연구실
    백강준 kangjun100@pknu.ac.kr

    지능형 유연반도체 연구

    본 연구실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기술로 빅데이터를 통해 판단하고 학습하는 인공지능과 스마트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해 유기물 반도체와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유연하고 인쇄 가능한 고성능 고집적 전자소자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능형 유연반도체 연구
  • 에너지변환재료 및 소재 실험실
    김창우 kimcw@pknu.ac.kr

    에너지변환재료 및 소재 연구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혹은 광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을 위한 반도체 소재, 자성재료 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물로부터 수소변환, 이산화 탄소로부터 알콜합성 등 에너지 변환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변환 메커니즘과 효율에 관하여 기초 연구 및 공학적 활용 이르기까지 폭 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에너지변환재료 및 소재 연구
  • 고급 에너지 소재 공학 실험실
    오필건 poh@pknu.ac.kr

    리튬 이온 이차전지 양/음극 소개 개발 및 재활용 연구, 전고체전지 소재 및 시스템 연구, 리튬 메틸전지 소재 및 시스템 연구

    리튬 이차전지는 현재 전기차, 드론, 전기 선박 등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실에서는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여러 물질 중에서도 특히 이차전지 고에너지, 고성능화를 위한 핵심 소재인 양/음극 소재 연구를 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재의 전기화학적 반응/ 열화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기존 소재보다 진보된 소재를 설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고급 에너지 소재 공학 실험실
  • 인공지능 그린에너지 소재 연구실
    (AI & Green energy Material lab.)
    대연캠퍼스 공학1관 (E13) 1308호
    서민호 foifrit@pknu.ac.krhttps://icms.pknu.ac.kr/agem

    탄소중립시대 실현을 목적으로 계산과 실험의 조합연구를 통해 차세대 전기화학 에너지 전환 소재 개발

    본 연구실에서는 원천적 탄소중립시대를 실현하기 위해 차세대 전기화학 에너지 전환 장치인 연료전지, 수전해, 차세대 배터리, CO2 전환용 고성능·고내구 소재를 합성, 물리화학적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며, 첨단전산물리학과 인공지능 기술과의 조합연구를 통해 효율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그린에너지 소재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