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소재공학부
금속공학(Metallurgical Engineeering)은 산업발전에 없어서는 안 될 근간이 되는 공학분야로서 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금속소재를 개발 응용하는데 필요한 학문이다. 부경대학교 금속공학전공은 1974년에 개설되어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여, 철강/비철,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체 및 의학 분야 등 모든 공학 분야 관련된 산업분야의 구성원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금속재료의 연구개발 및 생산제조기술, 특수한 용도로 사용이 되는 신금속, 첨단금속, 복합재료 등의 개발 및 생산현장에서의 생산관리 공정관리, 자재관리, 품질관리, 기술 영업 등의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는 자질을 구비할 수 있는 차세대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전체 산업분야 중에서 교육에서의 금속 분야 발전과 고급인력 양성에 필요한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함께 다양한 세부전공을 부여하여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을 도모하도록 한다. 금속공학은 전체산업분야의 발전을 지탱하고 새로운 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선도학문으로서 현대문명의 근본을 구축하고 있다.
금속재료의 연구개발 및 생상제조기술, 특수한 용도와 기능이 요구되는 신금속, 첨단금속, 금속기지 복합재료의 개발 및 생산현장에서의 생산관리, 공정관리, 자재관리, 품질관리, 기술영업 등 의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구비하도록 교육하는 학문분야이다. 전문화된 교육과 정과 체계적인 실험실습과정을 통하여 금속재료의 연구 및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두루갖춘 전문 인력과 산업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구비한 전문기술자 양성에 교육의 역점을 두고 있다.
철강 · 비철제련 분야, 금속가공 · 조립 분야, 전기 · 전자 분야, 항공 · 우주 분야, 중공업 · 중화학분야, 기계 · 자동차 분야, 자원 · 에너지 분야, 주조 · 단조·열처리 · 표면처리 분야, 안전 · 환경분야, 건축 · 건설 분야, 연구 · 교육 · 행정 기관, 대학원 진학, 창업 등
교수명 | 전공 | 이메일 |
---|---|---|
왕제필 | 화학야금 및 자원순환 | jpwang@pknu.ac.kr |
김권후 | 재료가공 및 재료특성 평가 | mrppeng@pknu.ac.kr |
고민성 | 이차전지 소재개발 및 특성 평가 | msko876@pknu.ac.kr |
이정훈 | 전기화학, 부방식, 표면처리 | jlee1@pknu.ac.kr |
조성묵 | 금속공정, 주조 | smcho1@pknu.ac.kr |
배재웅 | 첨단금속재료 개발 및 미세조직제어 | jwbae@pknu.ac.kr |
박지훈 | 차세대 반도체 소자 (산화물, 나노 채널), 하이브리드 전자재료, 반도체 소자 계면 | semicon@pknu.ac.kr |
화학야금 연구
제련슬래그 활용하여 2차 부산물 재자원화
수소 첨가 공정용 다공성 금속 분말 촉매 구조체 제조
폐리튬이온전지 핵심소재(Li, Co, Ni) 추출
폐태양광모듈로부터 재활용 공정시스템 개발
본 연구실은 새로운 환경친화형 폐자원에서 재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도시광산의 선두자가 되고자 합니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는 자원순환과 관련된 비철스크랩, 폐전지, 슬래그, 태양광 모듈 리싸이클링을 통하여 필수 유가금속 회수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조직제어 및 프로세스 연구
재료의 가공법에 따른 기계적 특성 및 조직학적인 특성 평가
마그네슘합금의 고온가공에 따른 기계적 특성과 집합조직 특성 평가 : 일본과 공동연구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개발 : 일본과 공동연구
재료 가공은 모든 재료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료가공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서 가공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 재료에 가장 적합한 가공법을 선택해서 적합한 재료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재료들이 산업분야 전반으로 이용됨에 따라 더욱 더 가공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가공법에 따른 재료의 특성을 이론적, 실험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에너지저장 소재 연구
리튬이차전지 성능 고도화 연구
리튬이차전지 핵심소재 (양/음극 활물질, 고체전해질 및 복합분리막) 개발
차세대 이차전지 에너지밀도 향상
리튬공기 전지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소재 개발 및 특성 평가
고효율 레독스 플로우 전지 기술 개발
Dendrite Free 리튬메탈전지 전극 기술 개발
차세대 대용량 이차전지 개발
전고체전지 전극 기술 개발 및 활물질과의 복합화 연구
이차전지소재 원천 및 상용화기술 개발
본 연구실에서는 고효율, 장수명,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이차전지 개발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활물질, 분리막 및 전해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인 메탈에어배터리(Metal-Air Battery)와 레독스플로우배터리(Redox Flow Battery)에 대한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표면공학 연구
전기화학 기반의 금속 표면처리 (Electrodeposition and Anodic Oxidation)
금속 소재의 부식 및 방식 (Corrosion and Anti-Corrosion)
발수성 표면처리 (Hydrophobic, Omniphobic and Lubricatn Infused Surfaces)
표면처리 기반의 열전달 및 방열 (Heat Transfer and Dissipation)
금속 표면에 나노구조 제어, 방오, 방빙 및 제빙 등 기능성 부여 (Nano-structure fabrication, Anti-Fouling, Anti- and De-Icing, Functionalizing)
기능성 표면공학 연구실은 금속 소재에 전기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의 물리적인 형상 및 화학적 상태의 변화를 통해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제어함으로써 특별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부·방식, 초소수성, 열전달, 방오, 방빙 및 제빙, 자기치유 등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