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학과는 건축물을 짓기 위해 필요한 분야인 설계, 구조, 시공, 재료, 환경, 및 설비에 대한 분야를 종합적으로 공부하는 학문으로, 최근에는 IT분야까지 건설에서 활용이 되는 등 다양한 분야가 혼합된 융·복합 기술을 다루고 있는 분야이다. 건축공학과는 인프라 관련 산업을 다루는 학문으로, 인간의 생활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학문이기 때문에, 항상 사회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심화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길러내고 있다.
본 학과 교수진은 다양한 형태의 국책연구과제 및 기업체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얻어내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어, 이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널려 있다. 건축공학과는 졸업 후,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공기업 등에 취업 가능하며, 전문직 공무원 및 건설관련 각종 연구소에도 (석사학위 이상) 진출할 수 있고,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전문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일정 기간 이상의 전문직 경력을 쌓으면, 건축시공기술사, 구조기술사 및 설비기술사 등의 면허 취득을 통해 전문성을 인정받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는 학과이다.
세계화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건축인재의 양성
건축 기술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 구축
실무와 연계하여, 전문적인 시공능력이 배양된 공학도의 양성
설계능력과, 공학적인 지식이 두루 배양된 체계적인 교육으로, 전문 건축인의 양성
건축관련 기술연구소, 건축관련 공무원(기술고시 등), 대기업의 건설회사 및 중·소 건설회사, 건축구조연구소, 건축안전진단회사, 국영기업체(한국통신, 한국전력, 주택공사, 도시개발공사, 농어촌진흥공사 등), 감리전문회사 등 다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다.
교수명 | 전공 | 이메일 |
---|---|---|
이재용 | 건축시공, 건설관리(cm) | jylee@pknu.ac.kr |
정근주 | 건축환경, 건축설비, 건물에너지 | envjung@pknu.ac.kr |
정철우 | 건축재료, 건축시공 | cwchung@pknu.ac.kr |
이규남 | 건축환경 및 설비 | knrhee@pknu.ac.kr |
이창환 | 철근콘크리트, 내진구조, 구조설계 | chlee@pknu.ac.kr |
김철 | 건축환경 및 설비 | chulkim@pknu.ac.kr |
박민재 | 강·합성구조, 구조해석,성능기반 설계 | mjp@pknu.ac.kr |
김지현 | 건축시공, 건축재료, 내구성 평가 | kjh@pknu.ac.kr |
건설경영, 건축시공, 건축재료
측색기를 활용한 건설안전표지의 측색과 평가
보도에 사용되는 시멘트복합체에 대한 황토색 표준의 제시
폐글라스울이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바루제가 수성 페인트의 색에 미치는 영향
방수제의 혼입이 수성 페인트의 색에 미치는 영향
건축재료의 성능평가 및 내구성 측정을 위한 다양한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공합분야의 건설기술 이론과 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건축공학 연구자와 학생들에게 보다 깊이 있는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건설환경, 건축설비, 건축에너지
수열원 히트펌프용 열가소성수지 코팅 STS주름관의 열관류 특성
부산지역 외기온도 및 착의량에 따른 쾌적범위 조사 연구
발전실적에 의한 낙동강 수소력발전소의 경제성 분석
에폭시도장 STS주름배관의 수중 열교환 성능에 관한 실험
대학 강의실의 실내 환경요소 및 학습효율 조사 분석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건물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며, 이를 최대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은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즉 쾌적 향상과 에너지 절감은 건축환경 설비 분야를 구성하는 두 개의 큰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건물의 설계단계에서 건물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열해석 시뮬레이션, 설비 시스템의 거동 해석, 에너지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연구하고 보다 에너지 절약적인 실내환경 제어를 위한 친환경 설비 시스템의 설계와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건축재료,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거동, 폐기물의 재활용, 건설 신재료 개발
바텀애쉬 기반 지오폴리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로슬래그 미분말 반응 자극제로서 배연탈황석고의 역할 연구
탈황이수석고가 바닥용 모르타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열처리된 배연탈활석고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성 연구
침전유도제가 지연된 시멘트 페이스트에 미치는 영향
건축시공 및 건축재료 일반과 건축경영 및 사업관리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건축시공 및 재료 분야에서는 공법의 개발과 성능평가, 신기술 개발 및 분석, 건축재료의 물성 분석 및 친환경 신재료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건축경영 및 사업관리 분야에서는 공사원가 계산 및 분석과 프로세스 개발, 경제성 분석,공사관리 및 현자 경영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건물 열환경, 건축기계설비, 에너지시뮬레이션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건물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며, 이를 최대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은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즉 쾌적향상과 에너지 절감은 건축환경 설비 분야를 구성하는 두 개의 큰 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물의 설계단계에서 건물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열해석 시뮬레이션, 설비 시스템의 거동 해석, 에너지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연구하고, 보다 에너지 절약적인 실내환경 제어를 위해 복사냉난방 시스템, 칠드빔 시스템 등 친환경 설비 시스템의 설계와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또한 설계 의도대로 건물 성능이 구현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실내환경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 및 성능검증(Measurement & Verification)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철근콘크리트구조, 내진구조, 합성구조
전단형 마찰댐퍼와 변단면 강재댐퍼가 조합된 SAFE 댐퍼의 구조성능
구조용 데크프레이트를 적용한 일방향 중공슬래브의 구조성능 평가
고강도 PC와 일반강도 RC로 구성된 합성기둥의 압축성능 평가
파형강판 제진벽을 사용한 고성능 내진 솔루션
기상이변을 교려한 PEB 구조물 안전성 확보 및 관리시스템
고성능 내진 솔루션, 효율적 내진보강시스템, 경제적 합성시스템, 초고층 구조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주로 수행한다. 이들에 관해 발생하는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적 거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험적 성능평가와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한다.
제로에너지 건축물, 재실자 행동 및 실내환경 평가
데이터기반 건축물 에너지 성능 계산 및 효율성 평가
총량기반 건축물 에너지 모델링 및 평가 체계 개발 (Code-compliant simulations)
재실자 중심의 빌딩시스템 디자인과 최적화 온열환경 계획 및 제어
실내환경요소 모니터링 및 오염요소 거동성 및 역학적 특성 평가 (AI, 빅데이터 등)
최근 건축분야에서 건축물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한 건축환경을 구축하면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실은 에너지 절약적 건축물을 통한 사회?환경적 기여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 건축물 성능 예측 및 분석을 통해 기존 건축물 에너지 성능 평가체계의 합리화를 추구하고 사용자 중심의 건축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한다.
강 · 합성구조, 유한요소해석, 내화설계, 성능기반 설계
화재에 노출된 강구조의 거동 분석
합성구조를 이용한 성능기반 내화설계
강-폴리머 조립식 모듈패널 시스템
모듈러 건축물의 내화성능평가
첨단산업시설, 초고층 건축물 등 실제 건축물 구조화재설계
구조화재공학을 기반으로 강·합성구조 건축물의 성능기반 내화설계를 중점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모듈러 건축물, 첨단산업시설(반도체공장, 데이터센터 등), 초고층 건축물의 실제 구조화재설계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수행하고 있다.
건축시공, 건축물량산출, 건축재료, 원전폐기물 재활용, 건설 재료의 내구성 평가
Applicability of calcium phosphate modified portlandcement paste for geologic sequestration of CO2
Dispersion quality of aqueously dispersed MWCNT affected by step sonication process and its impact on mechanical strength of cement paste: A comparison between polycarboxylate based high range water reducers and air entraining agent
Evaluation on Properties of Cement Mortar Using Magnetically Separated Coal Power Plant Bottom Ash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Separation Process for the Performance of Recycled Cement Powder: A Comparison with a Previous Study for Radioactive Waste Immobilization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mix proportion of concrete on efficiency of laser scabbling
건축시공 및 건설재료의 내구성 평가, 폐기물 재활용, 고성능 건설재료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원전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폐기물의 재활용과 나노재료를 활용한 고성능 건설재료의 개발 및 적용 등에 관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방사선 차폐를 위한 특수콘크리트 및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을 위한 고내구성 콘크리트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